본문 바로가기
  • 지요미의 IT성장일기
728x90

전체 글181

유닉스/리눅스 역사 리눅스의 역사 - 개발 초기에 어셈블리어로(=기계어) 작성됨 - B언어 만듦 ↪ 문제점이 있다 : 데이터 타입/자료 구조 지원하지 X ↪ 따라서 C언어가 개발됨 - 결국에는 C언어를 기반으로 이루어짐 - FSF(Free Software Foundation) 설립해서 리눅스 코드를 무료로 배포할 수 있도록 다시 작성하였음 - 네덜란드 교수가 이 내용을 가르쳤는데 학생이 -> 리눅스를 만든 "리눅스 토발즈" - 리눅스 토발즈는 개인 PC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상용화 시킴 리눅스의 특징 - 멀티유저 하나의 시스템에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음 - 멀티태스킹 각 접속자들은 다수의 작업을 중앙처리장치(CPU)와 같은 공용자원을 나누어 다수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음 리눅스의 디렉토리 .. 2023. 11. 23.
Thick provisioning & Thin provisioning 스토리지는 컴퓨터가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인데 용량에는 한계가 생겨 모든 데이터를 저장할 수는 없기 때문에 스토리지를 여러 호스트나 클라이언트가 공유하게 되는데 이 때, 스토리지를 어떻게 공유할지 정하는 방법이 바로 Thick provisioning과 Thin provisionin이다. Thick Provisioning - 미리 정해진 크기만큼의 스토리지 공간을 할당하는 방식 장점 1. 좋은 성능 물리적 스토리지 공간을 미리 할당하고 초기화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지연이 거의 없다. 물리적 스토리지가 이미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지 않다. 2. 높은 데이터 보안성 물리적 스토리지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전에 zeroing작업을 수행하는데 이 작업은 기존 데이터를 .. 2023. 11. 22.
라우터 라우터는 L3장비이다. 라우터는 Best Path를 찾는 장비이다. (라우팅 알고리즘을 사용 |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 서로 다른 Network를 연결하고 Broadcast Domain을 나눈다. 라우터는 특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packet의 목적지 IP주소를 보고 목적지와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송할 것을 결정. 이를 Routing이라고 한다. 라우터의 기본 기능은 경로 결정, 경로에 따른 packet 전송(스위칭) -> 그 외에도 네트워크 보안, QoS 등의 기능도 있다.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 스태틱(Static) 라우팅 프로토콜 - 관리자가 직접적으로 목적지 네트워크 정보를 입력하는 프로토콜 - Router에 관리자(사람)가 일일이 수동으로 경로를 입력한다. - Static은 정적.. 2023. 11. 22.
스위치 탄생배경/기능 5가지 탄생 배경 - 네트워크 참여자(=PC의 갯수) ↑ = 데이터의 양 ↑ - CSMA/CD 한계 발생 = 데이터 충돌 ↑ - 콜리전 발생으로 영향을 받는 노드 (=PC) 결국! 허브의 한계점 때문에 생겨난 것이 바로 스위치! * 필터링 기능. -> 프레임 내의 MAC주소를 평가하여 그 프레임을 브릿지를 통해 보낼 것인지 말것인지를 판단하는 기능 -> 필터링을 통해 불필요한 네트워크간의 통신을 억제하고 결과적으로 콜리전 발생을 방지 브릿지 스위치 2~4개의 포트 제공 몇십 또는 몇백개의 포트 제공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처리 : SLOW 하드웨어 방식으로 처리 : FAST 동일한 속도만을 지원 서로 다른 속도를 지원 - 스위치는 Layer2 wkdql - 장비 안에 MAC 주소 테이블 존재 -> 이것을 참조하여 .. 2023. 11. 22.
IP 주소 CLASS 5개로 구분 (A,B,C,D,E -> 실제 사용은 A,B,C) 네트워크 크기에 따라서 구분 (=하나의 네트워크가 호스트를 몇 개까지 가질 수 있는가) 궁극적으로 IP주소를 적절하고 효율적으로 배분하기 위한 목적 IP 주소 CLASS A - 하나의 네트워크가 가질 수 있는 호스트가 가장 많은 수 - 대규모 네트워크 - 32개의 이진수 중에서 맨 앞쪽 하나가 항상 0으로 시작 (나머지는 0과 1 중에서 아머가 나와도 상관없음) 0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 - 십진수로 변환: 0.0.0.0 ~ 127.255.255.255 - 실제사용 IP: 1.0.0.0 ~ 126.0.0.0 - 클래스 A의 호스트 수: 2의 24 (모두 0인 경우는 네트워크 지체) IP 주소 CLASS B.. 2023. 11. 22.
MAC Address / IP Address MAC Address : Media Access Control - 물리적 주소이기 때문에 변동이 불가능 IP Address 인터넷 세상에서 찾아가기 위한 논리적 주소 - 라우터를 통한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넓은 범위의 통신을 위해서 필요 - TCP/IP의 심장부로서 인터넷층의 프로토콜 - 이진수 32자리 -> 8자리마다(옥테트) 점으로 구분 -> 실제 사용은 십진수 공인 IP (Public IP) 사설 IP (Private IP) 할당주체 ISP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 라우터(공유기) 할당 대상 개인 또는 회사의 서버(라우터) 개인 또는 회사의 기기 고유성 인터넷 상에서 유일한 주소 하나의 네트워크 안에서 유일 네트워크가 다를 경우 중복 가능 공개 여부 내/외부 접근 가능 외부 접근 불가능 2023. 11. 2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