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지요미의 IT성장일기
728x90

🥰STUDY18

트랜잭션(Transaction) - 병행 제어, 로킹, 타임스탬프출처 트랜잭션이란? Transaction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해서 수행하는 작업의 단위 원자성 (Atomicity) :트랜잭션이 데이터베이스에 모두 반영되던가, 아니면 전혀 반영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일관성 (Consistency) : 트랜잭션의 작업 처리 결과가 항상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는 것독립성 (Isolation) : 둘 이상의 트랜잭션이 동시에 실행되었을 때, 어떤 하나의 트랜잭션이라도 다른 트랜잭션의 연산에 끼어들 수 없는 것지속성 (Durability) :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을 경우, 결과는 영구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는 것  병행제어란? Concurrency Control"병행"은 매우 빠르게 여러 트랜잭션 사이를 이동하면서 조금씩 처리를 수행하는 방식.실제로는 한번에 한번의 .. 2025. 1. 31.
Legacy BIOS vs UEFI 1. Legacy BIOS와 UEFI의 대표적인 차이점은 하드 디스크가 MBR 시스템이냐 GPT 시스템인지?     즉, MBR은  하드 디스크를 2 TB까지만 인식할 수 있고, UEFI의 GPT는 9ZB까지 인식한다. 2. 부팅디스크로 사용하려면 BIOS는 MBR, UEFI는 GPT가 되어야 한다.    물론, EFI에서도 CSM을 On하면  MBR 부팅도 가능하다. BIOS (Basic Input / Output System: 바이오스) BIOS는 PC에 전원을 켜고 Windows OS를 시작할 때까지 PC의 하드웨어 및 운영 체제(OS) 사이의 펌웨어 인터페이스. BIOS는 메인 보드의 ROM에 내장된 프로그램으로서 키보드, 마우스, CPU, 하드 디스크(HDD) 등의 하드웨어 장치를 초기화하여 제.. 2024. 10. 22.
api와 endpoint? API?API는 프로그램 혹은 시스템 간의 통신하는 창구,프로그램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것을 도와주는 매개체라 할 수 있다.  API는 손님(프로그램)이 주문할 수 있게 메뉴(명령 목록)를 정리하고,주문(명령)을 받으면 요리사(응용프로그램)와 상호작용하여 요청된 메뉴(명령에 대한 값)를 전달한다.  Endpoint?API가 두 시스템(어플리케이션)이 상호작용(소통) 할 수 있게 하는 프로토콜의 총집합이라면,ENDPOINT는 API가 서버에서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가능하게 하는 URL이다.   출처: https://blog.naver.com/ghdalswl77/222401162545 2024. 7. 17.
ping dns로 가지 않을 때 내 서버의 이름은 win001로 지정했는데,ping이 정상적으로 가지 않는다..이건 ipv6가 우선순위로 되어 있기 때문인데.. 수기로 바꾸었어도 계속 이런 상황.. 아래 명령어로 재진행!netsh interface ipv6 show prefixpoliciesnetsh interface ipv6 set prefix ::/96 60 3netsh interface ipv6 set prefix ::ffff:0:0/96 55 4  이렇게 진행했더니!!! ping이 dns로 정상적으로 간다. 2024. 6. 13.
파라미터란? IT공부를 하면서 IT용어에 대해서 아직도 아리송한 나는 비전공자 새싹 지요미.. 늘 들어도 잊어버려서 이제 내가 들은 것은 언제든지 찾아보기 위해 그리고 또 나같은 새싹이들을 위해 조금씩 기록해보고자 한다. 파라미터란? Parameter; 주어진 모델이나 시스템 특성을 나타내는 값. 일반적으로 파라미터는 모델의 동작을 결정하거나 조정하는데 사용된다. 아마 여러 곳에서 사용되는 용어라서 여기저기서 많이 들리는 용어이기도 하다. 파라미터란 단어는 주로 수학/과학/컴퓨터 과학 /통계학 등에서 주로 많이 쓰이는 것 같다. 파라미터의 기능? 파라미터는 모델이나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고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변수 또는 값. 모델이나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해 파라미터를 조정하거나 추정하는 경.. 2024. 3. 2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