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우터는 L3장비이다.
- 라우터는 Best Path를 찾는 장비이다. (라우팅 알고리즘을 사용 |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
- 서로 다른 Network를 연결하고 Broadcast Domain을 나눈다.
- 라우터는 특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packet의 목적지 IP주소를 보고 목적지와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송할 것을 결정. 이를 Routing이라고 한다.
- 라우터의 기본 기능은 경로 결정, 경로에 따른 packet 전송(스위칭)
- -> 그 외에도 네트워크 보안, QoS 등의 기능도 있다.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
스태틱(Static) 라우팅 프로토콜
- 관리자가 직접적으로 목적지 네트워크 정보를 입력하는 프로토콜
- Router에 관리자(사람)가 일일이 수동으로 경로를 입력한다.
- Static은 정적인 프로토콜로 한번 정해놓으면 무조건 그 경로로 전송한다.
- Router는 단지 그 경로를 따라 packet을 전송하면 되기 때문에 Router 자체에 별 부담이 없다.
장점
- CPU가 Best Path를 찾기 위한 계산을 하지 않기 때문에 라우팅 속도도 빨라지고 메모리도 적게 사용하기 때문에 라우터 성능이 좋아진다.
- Dynamic Routing Protocol처럼 Routing table을 교환할 필요가 없어 대역폭을 절약할 수 있다.
- 자신의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지 않아 Dynamic Routing Protocol보다 보안에 좋다.
단점
- 관리자가 직접 네트워크 경로를 일일이 설정해야 하니까 불편하다.
- 입력한 경로에 이상이 생겨도 packet을 계속해서 그 경로로 전송한다.
- 정적, 즉 수동이므로 관리자가 경로이상을 인지하고 경로설정을 바꾸기 전까지 계속해서 이상 경로로 전송한다.
- Dynamic Routing Protocol은 경로에 문제가 생길 경우, 그 때 마다 자동으로 경로를 수정해야 한다.
-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는 사용하기 힘들다. (Network변화를 감지하기 어렵고 확장성이 낮음)
다이나믹(Dynamic) 라우팅 프로토콜
- 대규모일 때 주로 사용한다.
- 구성이 쉽다.
- Router간 자동으로 서로 네트워크 정보를 주고받으며 네트워크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프로토콜
- ex) RIP, EIGRP, OSPF, IS-IS 등
Router Interface Type
Local router interface = LAN interface
Remote router interface = WAN interface
=======================================================================================
Q1: A회사 내에서 IGP장애가 발생했다면 어디까지 영향을 미칠까요?
A: IGP 장애 발생시, A회사 내부에서만 문제가 발생
Q2: A회사와 B회사는 BGP 프로토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BGP 장애 발생시, 영향을 받는 회사는 어디일까요?
A: 연결되어 있는 모든 회사에 영향을 미침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1218]Vcenter_2 (1) | 2023.12.18 |
---|---|
Thick provisioning & Thin provisioning (1) | 2023.11.22 |
스위치 탄생배경/기능 5가지 (1) | 2023.11.22 |
IP 주소 CLASS (0) | 2023.11.22 |
MAC Address / IP Address (0) | 2023.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