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181 TCP/IP TCP/IP 탄생 배경 - 1960년대 후반 이기종 컴퓨터간의 원할환 데이터통신을 위해 미국 국방성에서 개발 - OSI 7 Layer를 참조하여 TCP/IP 프로토콜을 생성 - 단점: 취약한 보안 기능 및 IP 주소 부족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사실상의 통신 프로토콜 표준 OSI: 통신 프로토콜에 필요한 기능이 무엇인지를 중심으로 고안하여 모델화 TCP/IP: 프로토콜을 컴퓨터에 적용시키려면 어떻게 프로그래밍해야 좋은지를 중심으로 개 IP(신뢰성x) ->간략화&고속화 - 커넥션리스형 - 처리과정 simple - 처리속도 fast TCP(신뢰성o) - 신뢰성 - 스트림형 프로토콜 UDP(신뢰성x) - 메세지 크기 유지 - 패킷 도달 보장x - 고속성, 실시간 2023. 11. 21. TCP, UDP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신뢰성이 있는 프로토콜 : 데이터가 목적지에 무사히 도착하는 것을 보증 UDP? (User Datagram Protocol) 신뢰성이 없는 프로토콜 : 데이터의 도달 여부 확인 X 2023. 11. 21. IP / ARP 통신을 하려면 주소가 2개가 필요함. IP, MAC주소! IP (Internet Protocol)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서로간의 통신을 위해서 구분되는 유일무이한 주소 네트워크간 공인 IP / 사설 IP 공유 2023. 11. 21. 이더넷 Ethernet? - 네트워크 구축 하는 방법 중의 하나 -> 랜카드부터 모든 장비들을 구성방식에 맞게 구입해야 하므로 중요! - 현재 Almost Hub = Multiport Repeater - 1:1 네트워크 환경에서 참여를 원하는 사람의 수 증가 - 이러한 커넥터를 리피터 안에 넣으면 어떨까? ->멀티포트 리피터 등장 Repeater? : 수신된 신호를 증폭한 후 다음 구간으로 재전송하는 장치 : 여러대의 리피터를 사용한다면 먼 거리까지 데이터 전달 가능 2023. 11. 21. OSI 7계층 * OSI 7 Layer? Open System Interconnection 등장배경 과거에는 장비를 만들면 제조사마다 프로토콜이 달라서 서로 통신이 되지 않았다. (프로토콜=언어) 서로 다른 프로토콜끼리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표준화를 시켜달라는 컴플레인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ISO(국제 표준화기구)에서 만듦! ↓ 결과적으로 ↓ 데이터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이 가능하고 트러블슈팅할 때 편리해졌다. 트러블슈팅할 때 왜 편리하냐면. 문제가 생겼을 때, 세분화 되어 있기 때문에 문제를 찾기가 쉬워졌다. 인프라 엔지니어는 1-4계층에 포커스를 맞춘다. 1계층 (물리계층) - 물리 매체상에서 소통이 가능한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역할 통신단위: bit, 0과1로 전송 장비: 케이블, 리피터, 허브 2계층 (데.. 2023. 11. 21. 인코딩 / 디코딩 인코딩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문자(언어)를 약속된 규칙에 따라 컴퓨터가 이해하는 언어(이진수 0과1)로 이루어진 코드로 바꾸는 것. 왜? 정보의 형태 표준화,보안, 저장공간 절약 등 예? 모스부호 디코딩 컴퓨터만 이해할 수 있는 언어를 다시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언어로 바꾸는 것 참조: https://codingpractices.tistory.com/entry/%EC%9D%B8%EC%BD%94%EB%94%A9-vs-%EB%94%94%EC%BD%94%EB%94%A9-%EC%A0%95%ED%99%95%ED%95%98%EA%B2%8C-%EC%9D%B4%ED%95%B4%ED%95%98%EA%B8%B0 2023. 11. 21. 이전 1 ··· 26 27 28 29 30 3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