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181 스위치 탄생배경/기능 5가지 탄생 배경 - 네트워크 참여자(=PC의 갯수) ↑ = 데이터의 양 ↑ - CSMA/CD 한계 발생 = 데이터 충돌 ↑ - 콜리전 발생으로 영향을 받는 노드 (=PC) 결국! 허브의 한계점 때문에 생겨난 것이 바로 스위치! * 필터링 기능. -> 프레임 내의 MAC주소를 평가하여 그 프레임을 브릿지를 통해 보낼 것인지 말것인지를 판단하는 기능 -> 필터링을 통해 불필요한 네트워크간의 통신을 억제하고 결과적으로 콜리전 발생을 방지 브릿지 스위치 2~4개의 포트 제공 몇십 또는 몇백개의 포트 제공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처리 : SLOW 하드웨어 방식으로 처리 : FAST 동일한 속도만을 지원 서로 다른 속도를 지원 - 스위치는 Layer2 wkdql - 장비 안에 MAC 주소 테이블 존재 -> 이것을 참조하여 .. 2023. 11. 22. IP 주소 CLASS 5개로 구분 (A,B,C,D,E -> 실제 사용은 A,B,C) 네트워크 크기에 따라서 구분 (=하나의 네트워크가 호스트를 몇 개까지 가질 수 있는가) 궁극적으로 IP주소를 적절하고 효율적으로 배분하기 위한 목적 IP 주소 CLASS A - 하나의 네트워크가 가질 수 있는 호스트가 가장 많은 수 - 대규모 네트워크 - 32개의 이진수 중에서 맨 앞쪽 하나가 항상 0으로 시작 (나머지는 0과 1 중에서 아머가 나와도 상관없음) 0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 - 십진수로 변환: 0.0.0.0 ~ 127.255.255.255 - 실제사용 IP: 1.0.0.0 ~ 126.0.0.0 - 클래스 A의 호스트 수: 2의 24 (모두 0인 경우는 네트워크 지체) IP 주소 CLASS B.. 2023. 11. 22. MAC Address / IP Address MAC Address : Media Access Control - 물리적 주소이기 때문에 변동이 불가능 IP Address 인터넷 세상에서 찾아가기 위한 논리적 주소 - 라우터를 통한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넓은 범위의 통신을 위해서 필요 - TCP/IP의 심장부로서 인터넷층의 프로토콜 - 이진수 32자리 -> 8자리마다(옥테트) 점으로 구분 -> 실제 사용은 십진수 공인 IP (Public IP) 사설 IP (Private IP) 할당주체 ISP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 라우터(공유기) 할당 대상 개인 또는 회사의 서버(라우터) 개인 또는 회사의 기기 고유성 인터넷 상에서 유일한 주소 하나의 네트워크 안에서 유일 네트워크가 다를 경우 중복 가능 공개 여부 내/외부 접근 가능 외부 접근 불가능 2023. 11. 21. TCP/IP TCP/IP 탄생 배경 - 1960년대 후반 이기종 컴퓨터간의 원할환 데이터통신을 위해 미국 국방성에서 개발 - OSI 7 Layer를 참조하여 TCP/IP 프로토콜을 생성 - 단점: 취약한 보안 기능 및 IP 주소 부족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사실상의 통신 프로토콜 표준 OSI: 통신 프로토콜에 필요한 기능이 무엇인지를 중심으로 고안하여 모델화 TCP/IP: 프로토콜을 컴퓨터에 적용시키려면 어떻게 프로그래밍해야 좋은지를 중심으로 개 IP(신뢰성x) ->간략화&고속화 - 커넥션리스형 - 처리과정 simple - 처리속도 fast TCP(신뢰성o) - 신뢰성 - 스트림형 프로토콜 UDP(신뢰성x) - 메세지 크기 유지 - 패킷 도달 보장x - 고속성, 실시간 2023. 11. 21. TCP, UDP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신뢰성이 있는 프로토콜 : 데이터가 목적지에 무사히 도착하는 것을 보증 UDP? (User Datagram Protocol) 신뢰성이 없는 프로토콜 : 데이터의 도달 여부 확인 X 2023. 11. 21.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