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지요미의 IT성장일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183

메타버스 인프라 https://www.etnews.com/20231214000309 메타버스 인프라 지원사업 성과 입증…참여기업 매출 17.8% 늘어정부의 메타버스 초기기업 인프라 지원사업 성과를 알리고 기업간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교류의 장이 마련됐다. 참가 기업 매출이 두 자릿수 늘며 가시적 성과도 거뒀다. 메타버스 활용·저변www.etnews.com 나는 인프라엔지니어 이기도 하지만, 어쨋던 IT에서 모든게 제대로 작동하려면 인프라가 필수 값이라고 생각한다.그런데 메타버스?그 말 자체도 생소하지만, 메타버스를 띄우기 위해 필요한 인프라적 요소로 뭐가 있을까? 고민 중. 어쩌면 이게 또 하나의 올 해 주어진 미션이기도 하다. 꺄 너무 어렵고 힘들고 또 재밌을 듯.  * 빠른 통신 (feat. 6G)* 5G의 경우, .. 2024. 6. 21.
ping dns로 가지 않을 때 내 서버의 이름은 win001로 지정했는데,ping이 정상적으로 가지 않는다..이건 ipv6가 우선순위로 되어 있기 때문인데.. 수기로 바꾸었어도 계속 이런 상황.. 아래 명령어로 재진행!netsh interface ipv6 show prefixpoliciesnetsh interface ipv6 set prefix ::/96 60 3netsh interface ipv6 set prefix ::ffff:0:0/96 55 4  이렇게 진행했더니!!! ping이 dns로 정상적으로 간다. 2024. 6. 13.
aks와 wac연결하기(feat.stress) 먼저, WAC와 ARC에 대해 잘 이해하기 위한 참고 영상.https://www.youtube.com/watch?v=mCYED529r5I토마스 아저씨가 잘 알려줘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아래의 영상은Azure Arc를 사용하여 자체 데이터 센터 또는 엣지 위치에서 온프레미스로 AKS를 배포, 관리 및 운영하는 방법을 토마스 아저씨가 설명해 주는 영상이다.https://www.youtube.com/watch?v=EUpju2YupiA  사실 난.이 영상들을 볼 때까지만 해도 나도 토마스 아저씨처럼 뚝딱뚝딱 할 줄 알았다.... 내가 문제인건지, Azure가 문제인건지... 이제 WAC가 무섭다..ㅠㅠ  어쨋든.. 나는 Azure와 On-Prem을 WAC로 연결해서 hybrid 클라우드를 구축할 예정이.. 2024. 6. 7.
Azure - Stack HCI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5. 28.
Kubernetes 용어 정리 [쿠버네티스 구성요소 및 명령어 흐름]  User사용자는 명령어를 입력하여 마스터 노드를 거쳐 각 노드들을 제어한다.  API Server쿠버네티스 중심 역할로 etcd와 주로 통신한다.  etcd각 구성요소들의 상태값을 key/value 형식으로 저장한다.분산 저장이 가능해서 장애발생시 복구가 가능하기 때문에 가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controller지정된 클러스터의 오브젝트 상태를 유지하고 관리한다.  Scheduler노드 상태와 자원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곳을 찾아 파드를 생성하는 것을 돕는다.  Kubelet파드 안의 컨테이너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모니터링한다.워커 노드에서 kubelet이 멈추면, kubelet 명령어를 수행할 때 무한대기 현상이 발생한다.  ProxyWorkerNode.. 2024. 5. 2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