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namespace 관리
네임스페이스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하나를 여러개 논리적인 단위로 나눠서 사용하는 것이다. 네임스페이스 덕분에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하나를 여러개 팀이나 사용자가 함께 공유할 수 있다. 또한 클러스터 안에서 용도에 따라 실행해야 하는 앱을 구분할 때도 네임스페이스를 사용한다. 네임스페이스별로 별도의 쿼터를 설정해서 특정 네임스페이스의 사용량을 제한할 수도 있다. |
GCP에서 project와 같다.
클러스터 가진 총량을 가지고 팀마다 네임스페이스를 만들 수 있고,
네임스페이스별로 쿼터를 정하여 자원사원량을 별도로 쿼터로 정해 설정을 한다.
우리는 이 중에서도 주로 default라는 namespace를 이용했다.
네임스페이스를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인 default로 지정된다.
kube-system이라는 네임스페이스 안에 존재하는 파드들
영업부 사람들을 위해 sales라는 namespace를 만들어보자.
kubectl create namespace sales
kubectl get pod -n sales #세일즈 N안에 있는 파드를 보는 방법
일단 이전에 실습했던 내용 모두 지워주기~!
kubectl delete all --all --force
# cd /test
# vi nginx-pod.yaml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space: sales
name: nginx-pod
labels:
app: nginx-pod
spec:
containers:
- name: nginx-pod-container
image: 34.22.96.240:5000/nginx:latest
ports:
- containerPort: 8080
# kubectl get apply -f nginx-pod.yaml
만약, 내가 영업부서 직원이라는 가정.
나는 영업부서 직원인데 굳이 이렇게 들어갈 필요가 없지 않나?!
kubectl config get-contexts kubernetes-admin@kubernetes
kubernetes-admin 사용자로 로그인해서 kubernetes라는 클러스터에 위치해 있다.
kubectl config set-context kubernetes-admin@kubernetes --namespace=sales
나는 영업부서의 직원이니까 namespace를 채워주자.
[set-context]라는 명령어를 넣어주면 정보가 변경이 가능하다.
kubectl config set-context kubernetes-admin@kubernetes --namespace=default
다시 default로 가고 싶다고 해도 [set-context]를 이용하니 변경됨!
디폴트 네임스페이스니까 당연히 k get pod해도 나오지 않음.
네임스페이스를 지우고 싶다면?
kubectl delete namespace sales
GCP 프로젝트처럼 모두 삭제된다.
728x90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ubernetes - Lemit Range ?? (0) | 2024.02.20 |
---|---|
Kubernetes - ResourceQuota관리 (0) | 2024.02.20 |
쿠버네티스-ConfigMap (0) | 2024.02.19 |
쿠버네티스 - GCP에서 이미지를 띄워서 쿠버네티스 해보기 (pv정적프로비저닝) (0) | 2024.02.19 |
Kubernetes-volume (1) | 2024.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