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지요미의 IT성장일기
Kubernetes

Kubernetes - 프로메테우스

by 지요미=P 2024. 2. 20.
728x90

프로메테우스

로메테우스는 CNCF가 호스트하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모니터링 도구.
운영비용이나 서버 측 머신 리소스가 필요하고 여러가지 메트릭을 수집/그래프화/모니터링할 수 있음.
대부분의 모니터링 도구가 push방식 즉, 대상 서버에 에이전트를 설치하고
이 에이전트가 메트릭 데이터를 수집해서 모니터링 서버로 보내면 상태를 보여주는 방식을 취함.
하지만 프로메테우스는 pull방식을 사용하여 대상 서버에 에이전트가 떠있으면
프로메테우스 서버가 주기적으로 에이전트에 접속해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식을 취함.

 

 

--- metric-server

# k apply -f https://github.com/kubernetes-sigs/metrics-server/releases/download/v0.6.3/components.yaml
# k edit deployments.apps -n kube-system metrics-server
--kubelet-insecure-tls

 

 

 

[프로메테우스 설치]

--- 프로메테우스 설치
kubectl create ns monitoring

git clone https://github.com/hali-linux/my-prometheus-grafana.git
cd my-prometheus-grafana

 

 

 kubectl apply -f .

. 을 하게 되면 폴더 내에 있는 모든 yaml 파일을 모두 apply 된당

 

모두 running 중인 것을 확인!

 

node-exporter(내보내는 것)이 뭘까?

pull방식으로 정보를 수집해오는 방식이다.

사이좋게 worker1,2,3에 설치되었음

 

prometeus-deployment가 리플리카셋을 1개만 했다는 의미임.

프로메테우스는 worker1에 설치됨!

아울러 grafana도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음. worker3에 설치되어있음!

 

 

노드 1,2,3가 사이좋게 파드가 생긴 이유를 확인해보자.

k describe pod node-exporter-b2bxr -n monitoring

daemonset = deployment와 유사함

에이전트처럼 정보를 수집하고 지워지면 다시 만들어지지 않음 (지울 때 경고창이 생김!)

여하튼 데몬셋에 의해 사이좋게 worker1,2,3 노드에 시스템 파드로 위치하게 됨

 

 

마스터노드 ip와 30003을 입력했더니 바로 프로메테우스 페이지가 띄워진다.

 

프로메테우스 그래프기능이다.

그런데 시각화도구로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음 ㅠ

 

30004로는 그라파나 페이지가 띄워진다.

 

무엇보다 프로메테우스와 그라파나가 연동이 되어야 하는게 관건임!

 

연동시키기위해서 프로메테우스 클러스터 ip와 port번호를 넣어준 후 save 눌러주기!

이렇게 하면 연동 완료!!

 

 

이제 시각화를 하려면 대시보드를 추가해 주어야 함.

 

다른 사용자가 만들어둔 거 가져오는 방법!

 

kube-state-metrics-v2 요고로 선택해줌 ㅎ

이유는 없음 그냥 좋아보여서?

 

 

이렇게 되면 안되는 고임..ㄷㄷ

 

다시!

 

오 ~~

멋지구만! 

 

728x90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ubernetes 용어 정리  (2) 2024.05.23
코드로 쿠버네티스 구성하기  (0) 2024.03.31
Kubernetes - 파드 스케쥴 (자동배치, 수동배치)  (0) 2024.02.20
Kubernetes - 모니터링  (0) 2024.02.20
Kubernetes - Lemit Range ??  (0) 2024.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