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기서 특이점은 컨트롤 플레인 노드 수가 1, 3, 5 이렇게 홀수로만 선택이 가능하다.
-> 또한, 노드풀은 기본 노드풀이 기본적으로 생성되는데 크기는 변경이 가능하지만 삭제는 안된다.
그렇지만 모두 생성 후에 노드풀에 가서는 삭제할 수 있음
-> 컨트롤 플레인 ip는 위 선택한 논리 네트워크 안에 속해 있는 ip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하지만 여기서 주의할 점이 있음.
lb ip, lb vip 등 등 모두 동일 네트워크 대역이지만 별도이기 때문에 주의하여 설정해야 한다.
-> 물론! 컨트롤 플레인 ip를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 이런 경우에는 dhcp로 잡히는데 이렇게 되면 추후에 api 서버를 dns로 맵핑시에 ip를 못찾는 케이스가 발생하기 때문에 나의 경우에는 컨트롤 플레인 ip를 꼭 지정하기로 하였다.
여기서 잠깐!
만들기로 바로 들어가지 않고 "자동화에 대한 템플릿 다운로드"를 선택하면 IaC를 볼 수 있다.
난 여기서 enableAzureRBAC 옵션을 true로 변경한다.
이유는 RBAC을 통해 portal, cli, policy, role로 클러스터 접근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azure 정책 기반 권한 통합!
이 옵션을 미리 변경하지 않으면 추후에 변경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템플릿을 한번 보고 가는 것을 추천한다.
pod cidr도 템플릿에서 지정 할 수 있고, 생성 후에는 변경이 불가능하다. 참고~
앗 그리고 수정시에는 꼭!!
[배포]를 선택해야 수정이 가능하다.
우당탕탕 생성기~
생성하는데는 약 30분 정도 소요된다.....
'Az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Azure devops pipeline 프리티어 -> 유료 전환 방법 (0) | 2025.02.26 |
---|---|
AKS 생성 + AGW 연결까지 (3) | 2024.12.06 |
SMTP 사용하여 이메일 보내기 (0) | 2024.08.14 |
aks와 wac연결하기(feat.stress) (1) | 2024.06.07 |
Azure - Stack HCI (0) | 2024.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