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지요미의 IT성장일기
Linux

윈도우 서버 설치 | 파일스토리지 실습

by 지요미=P 2023. 12. 12.
728x90

 

 

 

 

 

 

thick lazy 느리게 비워짐

디스크 정리에 부하가 발생(CPU)

 

thick eager 빠르게 비워짐

디스크 정리에 부하가 적다(CPU)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 KT, SKB, LGU+, Dreamline
CSP(Cloud       "        "   ) : AWS, Azure, GCP, Alibaba
MSP(Managed     "        "   ) : GS 네오텍, MZC, Bespin Global, Saltware

 

 

-> 프로비저닝 부분은 후에 수정이 불가하니 이 부분을 꼭!! 확인하자.

 

 

후후 쉽네 ㅎ

 

선택할 필요 X

 

 

core: 

2019 server base (GUI-DeskTop)

2019 server base core (CLI)

 

 

 

 

설~~ 치~~  중~~~

 

비밀번호 설정을 잘 해야함

 

 

 

 

 

 

 

 

 

 

 

설치~~~

 

 

IIS가 생겼다!

 

CMD창 열어서 ip주소 및 핑테스트까지 완료~!

(내 ip는 10.25.0.104)

 

 

 

 

KT DNS도 추가되었음

gateway -> 10.25.0.1 임!

 

 

firewall-cmd --permanent --zone=external --add-forward-port=port=3389:proto=tcp:toport=3389:toaddr=10.25.0.104
firewall-cmd --reload

 

라우터로 와서 포트포워딩을 해주었다.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했는데..

 

아뿔싸! 연결이 안됨....

 

 

윈도우로 돌아와서~~ "remote" 입력!

 

 

 

 

3389 포트 추가!

 

 

 

 

 

 

다시 연결~~

 

 

 

WebShare0.952Rev1187.zip-20231206T083812Z-001.zip
0.99MB

 

ChromeSetup.exe
1.36MB

 

 

위 파일을 다운로드 후 윈도우서버에 붙여준다.

 

 

 

 

 

-> 크롬에서 접속이 된다.

127.0.0.1:8080

 

aws.tar
1.52MB

 

 

 

라우터로 돌아가서!

 

 

vi /var/named/jyoonchu.shop.db
systemctl restart named

디비에 web3 정보를 넣어준다.

 

 

-> 윈도우에서 접속가능!

 

-> web1에서 저장해서 보는데 업로드가 안된다.. 그럼 방화벽을 보자.

 

 

 

 

 

 

짠! 생겼쥬 ㅋㅎㅎㅎ

 

다운로드 바로됨!!!! 룰루

 

 


* 서버 메시지 블록(Server Message Block, SMB; AWS FSx)은 도스나 윈도우에서 파일이나 디렉터리 및 주변 장치들을 공유하는데 사용되는 메시지 형식입니다. NetBIOS는 SMB 형식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많은 네트워크 제품들도 SMB를 사용합니다. 이러한 SMB 기반의 네트워크에는 랜매니저, 윈도우 포 워크그룹(Windows for Workgroups), 윈도우 NT, 그리고 랜 서버(Lan Server) 등이 있습니다. 서로 다른 운영 체제 사이에 파일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SMB를 사용하는 제품들도 많이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삼바인데, 유닉스와 윈도우 컴퓨터들간에 디렉터리와 파일을 공유할 수 있게 합니다.

 

# yum install -y samba
# mkdir -p /var/samba/share
# chmod 777 /var/samba/share
# adduser sesac
# passwd sesac
# smbpasswd -a sesac

 

samba : 하나의 어플이다!

 

 

# vi /etc/samba/smb.conf
        workgroup = hali
[share]
        comment = Share Directory
        path = /var/samba/share
        browserable = yes
        writable = yes
        valid users = sesac
        create mask = 0777
        directory mask = 0777

-> 요롷게 입력하고 저장하삼!

 

 

# systemctl start smb
# systemctl enable smb
# systemctl enable --now smb

# systemctl start nmb
# systemctl enable nmb
# systemctl enable --now nmb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samba
firewall-cmd --reload

cp aws.tar /var/samba/share/

->복사해줌

 

 

web2로 와서!!

yum install samba-client -y

-> web2에서 samba-client를 설치해주었다. 접속을 위해서 설치함

 

smbclient //web1.jyoonchu.shop/share -U sesac

 

 

??? 안보임..

 

 

 


-> web1에서 #setenforce 0 해준다.

[ selinux 상태가 permissive]

 

또는!!

vi /etc/sysconfig/selinux

selinux에서 disabled를 눌러주어도 된다.

 


 

보이쥬~~~~

 

 

smb를 통해서 파일을 이동시켰다..

올~!?

 


 

 

*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Network File System, NFS; AWS EFS(리눅스만 사용하고 윈도우는 연결 불가능))은 1984년에 썬 마이크로시스템즈가 개발한 프로토콜입니다.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사용자가 네트워크 상의 파일을 직접 연결된 스토리지에 접근하는 방식과 비슷한 방식으로 접근하도록 도와 줍니다. 다른 수많은 프로토콜과 마찬가지로 ONC RPC 시스템을 기반으로 합니다.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은 RFC에 정의된 오픈 표준이므로 누구나 구현할 수 있습니다.(윈도우10 접속 가능)

 

yum install -y nfs-utils
mkdir /share && cd $_
echo "Hello jyoonchu" > test.txt
cd ~
vi /etc/exports

 

exports파일은 nfs-utils가 설치되면서 같이 설치가 된다.

 

-> 요 네트워크에 있는 애들만 접속해서 할 수 있도록 설정해주자.

/share 는 내가 그냥 임의로 정해준 파일명

 

chmod 707 /share
systemctl enable --now nfs-server

파일에 권한을 줌.

 

exportfs -v

내가 만든 공유폴더가 share폴더이고 여기에 접근할 수 있는 ip 주소가 10.25.0.0이다.

이 설정을 보는 명령어.

 

 

방화벽 셋팅 해주기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nfs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rpc-bind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mountd
firewall-cmd --reload

 

 


DNS서버로 돌아옴

 

웹서버

 rpm -qa | grep nfs-utils

-> nfs-utils를 설치했는지 확인 유무를 알고 싶으면 [ rpm -qa | ] 해당 명령어를 사용한다.

 

 

 

nfs 클라이언트를 이용하기 위해서 nfs-utils 설치해주깅~~

yum install -y nfs-utils

 

 

showmount -e web2.jyoonchu.shop

-> 내 ip도 소속되어 있는지 확인해주었더니 있당 ㅎ

 

mkdir share
mount -t nfs web2.jyoonchu.shop:/share share/

df -h

-> web 2번이 이제 일종의 스토리가 된다.

 

 

 

*마운트 자동 설정하는 명령어

vi /etc/fstab

 

-> 프로그램이 껐다 켜져도 이 정보를 자동으로 셋팅할 수 있도록 설정하기 위해서 하는 거..

 

꿀정보 ㅇㅈ?

 

 


 

이젠 윈도우에서 nfs관련 내용들을 추가해야 합니당

 

 

 

 

 

탐색기 창에서!

 

\\web2.jyoonchu.shop\share

-> 이렇게 하면 z드라이브에 들어간다.

 

-> 리눅스에서 한 내용이 그대로 보여짐!!

 

-> nfs에서 권한을 수정한 후!!

 

vi share/test.txt

=> DB에 가서 추가된 내용을 볼 수도 있고,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도 있다.

 

이게 바로 파일 스토리지 이다.

 

 


 

윈도우에서 클라이언트 접속 GOGO

 

 

 

윈도우에서 삼바로 접속해보기

(너무 쉽다고 함 ㅋ 안쉬우면 ㅠㅋ)

 

\\web1.jyoonchu.shop

 

응 안돼? 안쉽쥬 ㅎ

 

 

 

접속됨~~~!!

 

tar -xvf aws.tar -C /var/www/html

 

 

 

 

web1에서 zip 설치해줘

 

 

압축해줘

zip -r aws.zip /var/www/html/*

 

 

삼바로 넘겨줘

cp aws.zip /var/samba/share/

 

 

윈도우로 들어가보

 

-> zip파일이 쉐어되었음 이폴더  ctrl+c 해라

 

 

 

-> 압축해제됨ㅋ

 

 

 

 

크롬 열어

 

 

wordpad로 오픈!

 

굿굿 나 좀 재능녀

 

 

 

web1_smb도 수정을 해보았다.

vi /var/www/html/index.html

 

 

 

 

web2_nfs도 수정을 해보았다.

vi /var/www/html/index.html

 

 

 

728x90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비서버 설치하기  (0) 2023.12.13
로드밸런서 실습  (3) 2023.12.12
웹서버(NFS) 설치하기  (0) 2023.12.11
static으로 ip 고정시키기  (0) 2023.12.11
디비서버 생성하기  (0) 2023.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