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user) : 시스템을 사용하려는 사람과 연결된 계정
-> UID
그룹(Group) : 공통의 목적을 가진 사용자들이 모인 집합 (파일의 권한을 공유하려고.)
-> GID
모든 사용자는 반드시 하나의 그룹에는 소속되어야 하는 것이 원칙이다.
왜? 유저가 생성되면 그룹이 만들어지고 유저는 소속이 되기 때문이다.
내가 속해있는 유저그룹을 알고 싶을 때
ls -al | grep group
/etc/passwd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
/etc/shadow 사용자 패스워드
/etc/group 시스템에 등록된 그룹 정보
/etc/gshadow 그룹 패스워드
su
: Switch User = Substitute User
: 로그아웃을 하지 않고 사용자 전환
: 옵션을 (-) 사용하지 않는다면! 기존의 사용자 환경 설정 유지 -> 현재 위치가 변경되지 X
환경변수를 그대로 따라온다
su -
옵션을 (-) 사용한다면!
: 해당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있는 설정들을 읽어오기 때문에 환경변수 적용! -> 로그인 시 유저의 기본 작업 공간인 홈 디렉토리로 이동!
사용자 생성하기
useradd [유저이름]
사용자 "코멘트 달아서" 생성하기
useradd -c [코멘트] [유저이름]
사용자 "비밀번호" 생성하기
passwd [유저이름]
디렉토리와 파일 생성하기
mkdir [디렉토리명]
touc [파일명]
umask
rw = 6
rw rw r = 664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만들 때 초기 접근권한을 설정해야 한다. 이걸 바로 -> umaks라고 불리운다.
파일은 666부터 시작
디렉토리는 777부터 시작
666
002
-----
664 -> rw_rw_r
666
022
644 rw_r__r__
777
022
755
rwx r-x r-x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_파일복사 (1) | 2023.11.24 |
---|---|
리눅스_파일생성/파일보기/파일편집 (0) | 2023.11.24 |
리눅스 권한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11.23 |
리눅스와 윈도우 연결하기 (0) | 2023.11.23 |
메모리 | 디스크 구분하기 (1) | 2023.11.23 |